Results for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2 found
Order:
  1.  29
    Humanities-based Philosophical Therapy in North Korean Defectors' Korean Social Adaptation.Kim Sun-Hye - 2012 - Philosophical Practice: Journal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Practitioners Association (American Philosophical Practitioners Association) 7 (1).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2.  14
    Environmental Philosophical Suggestions to Overcome Environmental Education without Spirit - Associated with the Four Major Rivers Project -. 정민걸 - 2013 - Environmental Philosophy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Philosophy) 16 (16):109-130.
    지난 이명박 정부는 국민의 의사에 반하여 법과 절차를 어겨가며 국민의 생태자산인 생태계를 파괴하는 4대강 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국민이 향유할 수 있는 생태자산에 따른 생태적 기본소득을 박탈한 것이며 동시에 국민이 공유한 자산을 국책사업이라는 미명하에 소수의 자산으로 사유화한 것이다. 이런 소수의 탐욕을 위한 국책사업이 진행될 수 있었던 근원적인 바탕은 사회에 팽배해 있는 그릇된 환경 가치관에 있다. 다시 말해서 4대강 사업은 ‘부국환경(富國環境)’이라는 환경을 단순히 부를 축적하기 위한 자원으로만 보는 탐욕의 환경 가치관이 사회 전반에 퍼져 있기 때문에 가능했다. 이런 사회적 상황에서 소수의 개인적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3
    A Historical & Philosophical Research on the Foundation for Coexistence of Korean Own Sacred Places and Palguanhwe(八關會) in Sodo(蘇塗) Area. 손병욱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6:133-163.
    우리의 역사상 실재하였거나 그 건립이 주창되었지만 한 번도 같은 공간에 공존(共存)한 적이 없었던 민족고유의 종교적 신성공간(神聖空間)이 3개 있다. 그것은 신라시대의 신궁(神宮), 고려의 팔성당(八聖堂), 조선조의 무묘(武廟)이다. 본고는 이 셋을 같은 공간에 복원한 뒤에 이 공간에서 신라 진흥왕 이래로 고려에 이르기까지 간헐적으로 행하여졌던 무교(巫敎)적 삼신천제(三神天帝)로서의 팔관회(八關會)를 부활시켜서 개최하는 것의 중요성과 그 역사·철학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렇게 하면, 이곳은 단순한 전통의 복원을 넘어선 ‘전통의 창조적 계승의 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앞의 세 신성공간에 숫자 3을 부여하고 뒤의 팔관회에 숫자 1을 부과하여, 이 3+1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2
    Yanagi, Ceramics and the Craft Values of Korean Aesthetics.Rosa Fernández Gómez - 2022 - Espes. The Slovak Journal of Aesthetics 11 (2):18-26.
    The long Japanese tradition of Korean ceramics appreciation, closely associated with the Zen tea ceremony _(chanoyu), _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aesthetics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art critic and philosopher Yanagi Soetsu was instrumental in this process during the occupation period, since, continuing in this tradition, he particularly valued Joseon ceramics for their aesthetic qualities - such as naturalness, nonchalance, and simplicity - akin to praised values in Zen Buddhism. Yanagi’s pioneering writings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8
    Korean Thought and Korean Philosophy. 유원기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3:359-383.
    "한국사상은 철학인가?" 라는 물음은 오랜 물음이지만 아직 명확히 답변되지 않은 물음 이다. 이 논문은 서양철학을 기준으로 다양한 국가의 사상이 철학인가를 평가하려는 시도는 부적절하며, 동양철학이나 서양철학이 아닌 철학 일반, 즉 보편철학 또는 세계철학의 기준 을 마련하고 그에 따라 다양한 사상이 그 기준에 부합하는가를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2장은 먼저 "중국철학의 적절성" 문제가 제기되는 배경과 중국 학계의 대응을 살피고, 서양철학을 하나의 기준으로 제시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런 뒤에 3장은 한국사상의 발전 과정과 연구 동향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보편철학을 진리 추구의 학문으로 규정할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16
    Cho Yik (趙翼)’s Point of View of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in Korean History of Classical Learning. 황병기 - 2018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3:205-231.
    This paper is a article of Pojeo Cho Yik (浦渚 趙翼: 1579~1655)’s point of view related to the book of Doctrine of the Mean (中庸) in the mid-Joseon Dynasty, when Neo Confucianism was overwhelming. At the age of 24, he wrote the Article of Doctrine of the Mean (jung yong seol 中庸說) which was explained the basic lines of the books related to the book of Doctrine of the Mean (中庸) to be written later. He wrote the Indivisual Opinion of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12
    The Features of Korean Zhuism in the Late Choseon Dynasty. 姜云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6:23-35.
    이 논문은 조선시대 후기 한국주자학의 특징을 세 가지 점에서 논한 것이다. 첫째는 주자학의 禮學化 경향인데, 이는 조선 후기의 주자학이 이미 세속적인 왕권까지도 능가하는 형이상학적 권위화가 이루어졌음을 의미하는 동시에, 그 사상이 경직화되어 사회의 발전을 이루어내는 사상적 역할을 온전히 수행하지 못하였음을 말해준다. 둘째는 17세기 후반부터 ‘脫-성리학적’이고 ‘百科全書的’인 시각으로 사회제도 전반에 대한 개혁을 시도하는 실학적 사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실학 사조는 전통적인 사상체계를 해체하고, 그 중심 의의를 무너뜨리며, ‘비주류’의 공간을 개척하는 등 몇 가지 근대지향성을 지닌다. 셋째는 주자학이 양반계층과 결합되어 일종의 생활문화로 정착하면서 조선왕조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10
    Frame Building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Frame Deconstruction of the Zhou Yi. 안승우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7:281-312.
    한국사회에서 탈북자에 대한 인식은 복합적인 경향을 띠고 있다. 헌법적 · 민족적 정체성의 측면에서 그들을 동일한 대한민국 국민, 민족 구성원으로 인식하기도 하면서, 언어적 · 문화적 차이, 정치적 · 이념적 차별성, 사회적 · 경제적 입지의 차이 등의 측면에서 그들을 소수자 혹은 다문화적 시각에서 인식하기도 한다. 이처럼 한국사회에서 탈북자 개념은 동질성이 강조되는 국민 · 민족공동체 범주, 차이와 이질성이 강조되는 소수자 · 다문화 범주 모두와 연관될 수 있는 복합성을 띠고 있는 개념이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한국인들의 탈북자에 대한 인식이 모순적 · 이중적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본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9.  10
    Ideological background and language usage of Missionary and Education for the Russian Orthodox Church in the Primorsky Krai at the Korean Migration period. 오새내 - 2018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4:173-19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ission and education of the Korean Orthodox Church in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of Koreans in the Primorsky Krai from the 1860s to the 1910s and to discus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sociocultural significance of it. This study summarizes the history of Korean maritime migrants in chronological order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his study, Russian, Russian-Korean bilingual and Korean translation used by the Russian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0.  10
    A Study on the Meaning of Academic History of Research of the Korean annotation of Buddhist Scriptures(諺解佛典) - Focus on the {Korean annotation of Shurangama Sutra(楞嚴經諺解)} -. 손흥철 & 박용석 - 2022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8:99-123.
    이 논문에서 필자는 조선초에 간행된 『능엄경언해(楞嚴經諺解)』를 중심으로 언해불전 연구의 의미를 고찰하고, 불경언해의 과정에서 형성된 우리말 개념의 형성과 그 특징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하여 언해불전(諺解佛典) 연구의 필요성을 종합적으로 논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2장에서는 『능엄경언해』를 비롯한 언해불전의 간행은 국가의 정치적 목 적과 왕실보호 및 개국 과정에서의 벌어진 많은 정적을 죽인 데 대한 속죄의 의미가 있었 다고 논증하였다. 제3장에서는 불경언해의 과정을 통하여 범어(梵語)-한어(漢語)-언해 (諺解)로 이어지는 학문적 개념이 정립되었음을 논증하였다. 특히 과문구조(科文構造)가 언해의 중요한 방법이자 특징임을 논증하였다. 아울러 언해의 과정에서 우리 민족의 사유 와 개념이 비로소 우리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1.  9
    Philosophical Reasoning in 「Shipjeongpum」of 『Avatamsaka Sutra』- Focusing on the Ten-samādhi -. 강기선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1-23.
    이 글은 ‘『화엄경』「십정품」에 담긴 철학적 사유 -10가지 삼매를 중심으로-’에 대하여 살펴본 논문이다. 본 논문의 내용은 크게 2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여 분석해보았다. 먼저 제Ⅱ장에서『화엄경』 「십정품」의 정의와 중심사상을,「십정품」의 구조와 이름에 담긴 함의, 이품의 청자와 설주보살에 대해 살펴보고, 「십정품」의 핵심사상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제Ⅲ장에서는「십정품」의 열 가지 삼매에 담긴 철학적 사유를 10가지삼매 명칭에 담긴 의미, 10가지 삼매에 담긴 철학적 특성을 살펴본 다음, 10가지 삼매의 위상과 의의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BR 이러한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화엄경』「십정품」에 담긴 10가지 삼매에 담긴 철학적 사유는 우리 인간의 내면을 정화하고 물질적인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2.  10
    A Physicalistic Approach to Conceptual Clarification of Philosophical Therapy. 이재숭 - 2018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4:23-42.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new topic of Korean philosophy in the 21st century is humanities therapy, more specifically philosophical therapy. However, criticism that the concepts and theories that make up humanities therapy are not clear can be raised. Therefore, I think that the conceptual clarification is necessary to establish this therapy academically against the this negative criticism. The problem, I have argued, is that because the concepts used in humanities therapy are value-dependent, they are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3.  49
    A Philosophical Project of Hybrid Approach to Artificial Moral Agents. 최현철 & 변순용 - 2019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24):1-16.
    이 글은 인공적 도덕 행위자(Artificial Moral Agents)에 대한 융합(hybrid) 접근에 대해 철학적 분석과 기획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AMA를 둘러싼 여러 접근들 중 융합적 접근이 윤리학 차원에서 인간과 유사한 도덕적 인지를 갖추게 하는 현실적으로 기획 수립을 그 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과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 철학계에서, 특히 윤리학에서 지금까지 논의되고 있는 도덕적 인지 모형들을 정리하였다. 이 정리를 통해 본 연구는 도덕성이 형식적 추론으로 환원될 수 있다는 입장을 하향식의 주요 이념으로 간주하고 도덕성이 창발적 과정으로 자기 조작성을 가진다는 입장을 상향식의 주요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4.  10
    Philosophical writing guidance for high school students. 이진회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281-301.
    학생부종합전형의 영향으로 고등학교에서 글쓰기는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 때 필요한 것은 철학적 글쓰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고등학교에서 글쓰기는 국어 교사의 전유물로 여겨진다. 그 원인 중 하나는 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철학 교사가 많지 않기 때문이며, 다른 하나는 철학적 글쓰기에서 ‘쓰기’만 강조되기 때문이다.BR 고등학교의 글쓰기 영역 중 ‘논술’, ‘토론’, ‘소논문’의 기본은 비판적 사고 능력이며, 이를 바탕으로 한 논증적 글쓰기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사들과 학생들에게 그 토대가 되어야 하는 철학과 논리학은 여전히 어렵고 낯설다.BR 이 글은 고등학생들에게 필요한 철학적 글쓰기 분야 중 ‘논술’, ‘토론’,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5.  13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s a Method for Personality Education. 강기호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4:41-61.
    본 논문은 인성교육의 한 방법으로서 철학상담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흔히 철학상담은 그 자체로 인성교육을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인성의 개념과 인성교육의 방향에 대한 분명한 이해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철학상담을 인성교육의 한 방법으로 구체화하기 어렵다. 이에 필자는 종래의 인성교육의 문제점과 새로운 인성교육의 방향을 선행 연구를 통해서 논의하였다. 그 결과 종래의 인성교육은 인성의 개념을 전체적인 관점에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과 새로운 인성교육은 방향만을 제시할 뿐 구체적인 방법에 관한 논의가 부재하다는 점, 그리고 철학상담의 한 부분인 윤리상담은 개인의 세계관을 구성하는 다양한 측면을 모두 포괄하지 못하므로 새로운 인성교육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6.  12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Self-Actualization in Carl Jung’s Archetype Concept. 진숙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3:287-316.
    본 글은 분석심리학자인 칼 융(Carl Gustav Jung)의 원형의 개념과 진정한 자기(Self)가 되기 위한 개성화 과정을 통한 ‘자기실현’과 철학적 의미를 알아본다. 융의 분석심리학은 인간과 인간의 정신이 세계 안에 포함되어 있는 동시에 외부세계가 어느 정도 우리 정신안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다루려는 시도에서 발전하였다. 분석심리학은 심혼의 구조와 역동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의식과 무의식, 즉 존재의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개념은 융의 기본 사상으로서 우리의 전체로서의 정신은 하나라는 것을 지지해준다.BR 우리는 각자 자신에 대해 잘 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자아는 오직 의식 안의 내용물만을 알 뿐이며 무의식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7.  16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Human Being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 Focused on the Debates between Kant’s Anthropology and Modern Neuroscience -. 김영례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1:105-128.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우리는 대변혁의 시기에 서 있다. 생명공학, 신경과학의 발달은 인간의 정신이나 신체를 조작의 대상으로 삼아서 포스트휴먼의 시대를 예고한다. 신경망 인공지능의 발달은 제4차 산업혁명을 야기하여 우리를 쓸모없는 인간집단으로 만들지도 모른다. 과학이 추진하는 미래는 유토피아인가 디스토피아인가? 논자는 인간의 본질을 통해 이 문제의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인간성은 역사과정의 모든 변화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판단을 지탱해준 근간이었다. 인간의 의식은 여전히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신비한 블랙박스며, 신체의 조작과 개선을 통해 우리의 본질을 잃어서는 안 된다. 그래서 칸트의 인간학을 토대로 인간이 무엇인가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8.  12
    Philosophical Examination on the Educational Agonies and the Direction of the Future Moral Education in Korea.Myungjoon Lee - 200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0):149-181.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9.  10
    A philosophical Study of Sexuality Inherent in the Me Too Movement. 박정희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3:147-166.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주의 페미니즘 관점에서 미투 운동에 내재된 섹슈얼리티 문제를 철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미투 운동에서 드러난 여성 억압은 가부장주의와 남성우월주의뿐만 아니라, 자본주의의 노동 구조와 법적·정치적 구조, 그리고 사회문화적 제도 등에서 비롯된 남녀 간 힘의 불균등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아울러 미투 운동에 내재된 섹슈얼리티를 통해 성과 권력의 문제, 그리고 성과 관련한 우리사회의 비뚤어진 욕망을 중점적으로 탐구하는 것이 이 연구의 필요성이다.BR 본 연구는 여성 억압의 문제를 성차별과 계급차별로 분리하지 않고, 계급과 젠더가 맞물리는 지점에 주목하면서 산업구조와 자본 및 경제적 구조에 따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0.  6
    Philosophical Analysis of Changes in Meaning of ‘From Unification to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 Focusing on the Direction and Perspectives of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 신중섭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193-214.
    통일부 통일교육원은 2018년 8월 종전의 통일교육지침서를 대신해 『평화 · 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을 발간했다. 『평화 · 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은 현 정부가 통일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지침서이기 때문에 현 정부의 대북통일정책을 잘 반영한다. 새롭게 발간된 『평화 · 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은 평화를 실현하는 방법으로 통일교육을 해야 한다는 인식에서 ‘평화 · 통일교육’을 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외형적으로 통일교육에 평화교육이 더해진 것이다. 『평화 · 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은 평화의식을 바탕으로 북한을 이해하고 협력적인 남북관계를 지향하게 하여 평화로운 통일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함양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1.  6
    A Status of Dong-Hak in Korean Spirit History. 장현오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9:219-251.
    19세기 후반 조선사회는 봉건전제사회가 갖는 모순의 누적으로 안으로는 치유불능의 고질병에 걸려 민중들은 도탄에 빠져 신음하고 있었으며, 밖으로는 서세동점에 의한 서양 및 일본 제국주의로부터 심각한 도전을 받아 국가가 누란의 위기에 처해 있었다. 동학은 이 같은 위기 상황에서 보국안민과 광제창생을 위해 창도된 한국의 대표적 민족종교 중의 하나이다.BR 한국의 민족종교 중에서 동학이 갖는 한민족의 정신사적 의의는 동학정신의 연원이 한민족의 뿌리정신에 근거한다는 것에 있다. 그래서 오늘날 분단된 한국의 현실에서 동학이 갖는 의의는 실로 매우 중대하다하겠다. 그것은 동학정신이 한민족의 잃어버린 뿌리정신의 부활이란 관점에서 한민족 주체의식을 제고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2.  7
    A Study on Humanities and Problem Solving in Korean Youth Suicide Problem. 심귀연 & 이영석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9:157-175.
    본 연구는 한국의 청소년 자살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살은 삶의 ‘위기’로 파악된다. 우리는 인간 삶의 위기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인문학적 방법, 특히 현상학에서 찾는다. 우리가 한국 사회의 청소년 자살을 문제로 삼는 것은 청소년기의 삶이 미래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 때문이다. 청소년들은 성장과정에서 신체의 변화와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고 불확실한 미래로 인해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빠진다. 이러한 상태를 심리적이고 생리학적인 측면에서의 병적 상황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자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현상학은 모든 문제 상황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3.  10
    Philosophical Grounds of Augustine’s the Seven Liberal Arts - with Special Reference to De Ordine -. 신경수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8:55-76.
    아우구스티누스의 『질서론』(De ordine)은 카펠라의 저작에 앞서 7자유교과를 체계적으로 다룬 최초의 작품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이 저작에서 3학(trivium)과 4과(quadrivium)의 기본 형태를 제시하고 7자유교과의 의미와 정당성을 철학과 기독교적 가치로 입증하는 데 천착한다. 그에게 있어 7자유교과는 총체적 지식, 즉 우주적 질서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임과 동시에 우주적 질서(ordo universitatis)의 일부분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보편적 우주의 질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자유교과가 반드시 가르침의 올바른 순서(ordo eruditionis)에 의해 확장해야만 한다고 말한다. 그는 7자유교과를 언어 분과와 수학분과로 나누는데, 이렇게 나눌 수 있는 근거도 필연적 발달 단계에 따른 것이다. 또한 그는 7자유교과가 이성적 활동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4.  10
    The Happiness and External Good in Aristotle - Focusing on The standard of happiness of Korean Society and Practice of Virtue -. 김광연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7:79-101.
    우리들 모두는 행복하기를 바라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행복이 무엇인지 모를 때가 많다. 행복한 삶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오늘날 황금만능주의에 젖어있는 우리들은 행복을 돈을 소유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때가 많다. 우리는 좋은 집안과 풍요로운 재산을 부러워하고 있다. 특히 현대인들에게서 행복의 조건은 더욱 높은 물질적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BR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위해서는 외부적인 조건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럼 그가 말한 외부적인 조건은 행복과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을까? 오늘 외모지상주의와 황금만능주의사회에서 현대인들이 추구하는 외부적 조건과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외부적 조건과는 무엇이 다른가?BR 아리스토텔레스는 물질의 풍요로움이나 훌륭한 가문에 태어나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5.  14
    Political-Philosophical Understanding and Teaching about Political Philosophy.Dong-il Kim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4:43-64.
    이 글의 목적은 정치철학을 ‘정치철학적’으로 이해하고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정치철학의 ‘정치철학적’ 이해는 역사적, 철학적, 그리고 정치적 이해를 포함하지만 거기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그것은 중요한 개념과 이론들을 정치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 글은 ‘정치철학적’으로 정치철학을 논의해야 하는 필요성을 검토한 후 역사적, 철학적, 그리고 정치적 정치철학의 이해가 보여주는 한계를 설명함으로써 ‘정치철학적’ 정치철학을 주장한다. 나아가 ‘정치철학적’으로 정치철학을 이해한다는 것은 무엇인지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말해, 정치적인 문제들을 중심으로 정치철학을 이해하고 가르칠 때 정치철학이 여전히 유용하며 지속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6.  14
    Archetype of Philosophical Counselling in Plato and Aristotle - "Soul Caring" and "Soul Growing". 이상봉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7:403-422.
    철학은 인간이 지혜롭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인도하는 역할을 잘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관점에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사상에 나타난 철학상담의 원형적 모습을 살펴보았다.BR 플라톤에게 있어서 철학은 영혼이 가장 좋고 훌륭하게 되도록 병든 영혼을 잘 돌보는 활동이라면,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철학은 영혼이 그 기능을 잘 발휘할 수 있도록 영혼을 키우고 가꾸는 활동이다. 혼란하고 일관성이 없으며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한 인간이 행복할 수는 없다. 플라톤은 불행한 인간을 행복에로 돌려 세우는 방법으로 대화술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인간을 행복하게 만들고자 시도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동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7.  9
    The Democratic Implication of Philosopher Queens in Plato’s the Republic. 임정아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569-586.
    달(Robert Dahl)은 플라톤의 수호자 주의가 대다수 시민이 스스로 통치할 정치적 능력이 없음을 가정하며, 시민의 참여를 통한 자율적 능력 개발을 차단한다고 비판한다. 다른 한편, 『국가』 제5권에서 여성수호자를 인정한 것에 대해 오킨(S.M. Okin)은 플라톤을 남녀평등을 주장한 여성주의자로 분류한다. 달의 비판대로 플라톤의 수호자집단에 의한 지배는 민주적인 정치체제라고 보기 어렵다. 한편, 플라톤이 말하는 수호자집단을 보면, 당시 배제된 집단인 여성을 수호자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렇다면 그 집단의 여성은 통치할 정치적 능력을 가진 존재로 인정되어 집단 내에서 평등한 대상으로 여겨진 것이고, 또한 실행가능한 자유를 최대한 실현하는 기회의 평등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8.  14
    Kant a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Lacan : Moral argument through comparison demonstration and analysis on the Antigone. 성치선 - 2014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9):31-64.
    알려졌듯이 라깡은 정신분석에 철학적 논의를 더하여 프로이트의 이론을 다듬고 발전시켰다. 본 논문은 라깡 정신분석학의 주요 철학적 근거가 칸트에서 유래했음을 두 이론 간의 인식론적 유사점을 비교함으로써 밝히고자 한다. 기존의 칸트와 라깡 비교연구가 일면적으로 진행된 것에 반해 주체, 객체, 주-객체 간의 관계 맺음의 양식이란 3가지 항을 기준으로 한 인식론적 비교는 양 이론 간의 포괄적 비교를 가능하게 한다. 칸트와 라깡 이론은 주체 측면에서 근대적 인간관의 특징인 이중적으로 분리된 주체를 상정하고 있으며, 객체 측면에서는 사물 자체에 관한 칸트의 주장을 거의 변동 없이 라깡이 수용하고 있음을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9.  17
    A Cases of Racial Prejudice in Korean Society and Its Characteristics. 배상식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9:168-192.
    이 글은 한국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인종 편견 사례를 통해 그것의 발생원인과 그 특성들을 유형별로 소개하고 해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는 인종 편견 사례를 살펴보기 전에, 그 예비적 고찰로서 인종 개념과 인종 편견 개념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이러한 개념 속에 내재되어 있는 본질적 의미를 해명해 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한국사회에 만연해 있는 인종 편견의 발생 원인과 그 사례를 몇 가지로 구분하여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역사적인 맥락에서 한국사회에 내재되어 있는 우월의식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또한 그것이 현재 한국사회의 인종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0.  6
    A Study on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poetic Rhetoric in the Works of Vico and Novalis. 강동수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5:1-22.
    이 연구는 비코(Giambattista Vico)와 노발리스(Novalis)의 저작 속에서 시적 사유가 철학에서 가지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시적 사유는 철학적 사유의 원천적 특성을 지시하는 용어이다. 그들에게 시적 지혜 또는 질적 사유로 명명된 시적 사유는 객관주의의 양적 사유에 빠져서 창백해진 철학에 생기를 되살리는 계기를 제공한다. 시적 사유는 감각, 지성과 의지가 하나로 통합된 감정을 표현하는 형태이다. 객관주의는 감각과 지성을 분리하면서 감정을 사유에서 배제하여 생동성을 상실하게 만든다. 시적 사유의 감정은 개별 주관이 아니라 공동체의 공감으로 승화된 것이다. 이 감정은 철학이 신비와 경이로 부르는 초월적인 정신의 현전이며 초감각적인 현상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1.  9
    A Social Philosophical Study on ‘Speaking’ and ‘Listening’. 양창아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215-238.
    이 논문은 ‘말하고’ ‘듣는다’는 일상적인 경험을 사회 철학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개인의 이야기가 지닌 정치적 의미를 밝힌다. 논자는 기존의 보편성으로부터 배제된 존재들의 개별적 경험이 정치의 생명력을 결정짓는다고 주장하며, 자기 경험 이야기하기의 정치적 힘을 규명하기 위해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이야기하기(story-telling)’의 의미를 다각도로 밝힌다. 먼저 ‘복수성(plurality)’과 ‘의견(opinion)’ 말하기의 정치적 의미를 규명한다. 다음으로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자기 자신을 설명하기(giving an account of oneself)’에 관한 논의를 통해 ‘나’의 이야기가 근본적으로 ‘타자’ 관계에 기반하며 그런 까닭에 자기 서사의 완결성이 훼손될 수밖에 없음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그 훼손된 자리가 바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2.  11
    The Coordinate System of Modern Korean Philosophy - Catastrophe, Enlightenment, Insurrection, Constitution, Persona and Ascesis. 문순표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4:129-153.
    이 글은 현대한국철학의 역사를 정립하기 위한 예비적 시도다. 이 시도는 우선 최근 정 치적 주체로 급부상한 '페미니즘 주체'의 탈역사적 성격, 즉 선험적 통일성을 담지하지 않 는 역사 이후의 주체로서의 성격을 적극 참조한다. 이른바 칸트가 개진했던 '이성의 역사'라고 하는 이성의 자기발전에 대한 역사적 성찰에 대해 이 탈역사적 주체는 그 뿌리에서부 터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 다시 말해 현대한국철학사 역시 서양철학사와 동일하게 '철학적 문제는 어떻게 발생하는가'(철학의 체계)와 '이 문제를 정식화하기 위한 개념들의 역사적 발생(철학사)', 이 양자의 이율배반적 관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현대한국철학을 규정하기 위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3.  9
    Can Homo Sacer be the Philosophy of Analyzing the Discourse of ‘Risk Outsourcing’ in Korean Society? 정재요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429-454.
    이 글은 오늘날 한국사회의 생명정치적 담론으로 볼 수 있는 ‘위험의 외주화’를 조르조 아감벤이 제시한 ‘호모 사케르’(Homo Sacer)의 정치철학을 경유하여 분석‧검토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아감벤의 사유가 과연 우리의 노동현실에 적실성을 가진 이론인지를 평가하고, 위험의 외주화 담론에 내재한 생명정치성을 보다 면밀하게 고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기획에 따라 본고의 2장에서는 연구 분석의 준거를 마련하기 위한 차원에서 아감벤이 제시한 호모 사케르의 정치철학을 개략적인 수준에서 검토하고, 3장에서는 한국사회의 생명정치적 담론으로 설정한 위험의 외주화에 관한 내용을 다루어본다. 논문의 핵심부분을 차지하는 4장은 아감벤이 제시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4.  11
    Buddhist Philosophical Approach to the Unification : Focus on the Key Concepts in the Theory of Awakening Faith in Mahayana. 장승희 - 201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21):109-139.
    본 연구는 『대승기신론』의 핵심개념에서 통일을 위한 철학적 원리를 탐구한 것이다. 통일관련 연구들이 확대되고 있지만 통일에 대한 철학적 연구가 쉽지 않은 이유는 철학자들이 민감한 통일문제를 꺼리기도 하지만, 시대적‧환경적 영향을 지대하게 받는 주제여서 객관적 관점 견지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비판과 성찰에 기초한 다양하고 열린 ‘통일’ 논의는 ‘철학’과 만날 때 가능하다. 대승불교 경전들을 종합한 논서인 『대승기신론』의 불일불이(不一不異) 인식론은 새로운 통찰을 제시함으로써 이분법적 논리를 넘어 평화와 공존의 논리를 제시해준다. 『대승기신론』의 핵심개념은 대승(大乘)인 일심(一心), 이문(二門)과 삼대(三大), 사신(四信)과 오행(五行) 등으로 인식론‧존재론‧실천론이 체계적으로 구조화되어 있다. 통일의 목표로 제시될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5.  6
    The Social philosophical Meaning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 Focusing on Liberal Ethics and Discourse Ethics. 고현범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4:1-20.
    이 글은 세계화 시대 상호문화적 대화가 어떤 의미를 갖고 있으며 어떻게 가능한가라는 문제를 사회철학적 관점에서 논의한다. 상호문화적 대화의 철학은 각 문화의 원칙적 동등성의 인정, 즉 상호문화성에서 출발한다. 이에 따르면 어느 문화에나 철학은 존재하며 각 문화의 조건을 반영한다. 따라서 하나의 철학이 독점적 우위를 차지할 수 없기 때문에 상호문화적 대화의 철학이 출발하는 지점은 잠정적일 수밖에 없다.BR 이 글은 포넷-베탕쿠어의 논의에서 출발한다. 쿠바출신으로 독일에서 활동하는 그의 학문적 이력 자체가 상호문화적이며, 무엇보다 그의 논의는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이 주도한다는 점에서 좋은 삶과 정의의 관점에서 사회발전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6.  10
    In search of philosophical foundations for palliative care and termination of life-prolonging treatments - Focusing on Nietzsche and Epicurus -. 권미연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211-234.
    오늘날 발달한 의학기술로 인해 우리는 연명치료와 호스피스 · 완화의료 등 죽음과 관련된 의료, 즉 웰다잉(Well-dying)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웰다잉 문제의 핵심은 임종기 환자의 삶의 질뿐만 아니라 죽음의 질의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우리에게 연명치료 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증대와 관련하여 법적, 제도적 과제와 함께 임종기 환자의 죽음교육의 문제를 제기한다. 이 논문은 연명치료 중단과 호스피스 · 완화의료에서 비종교인에 대한 죽음교육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비종교인들이 내세 관념 없이도 평안한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죽음의 두려움을 어떻게 극복하는가의 문제이다. 이 논문은 비종교인의 죽음에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7.  34
    (1 other version)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Preliminary meeting of leaders of the discussion on mechanism versus vitalism.R. F. A. Hoernlé - 1918 - Journal of Philosophy, Psychology and Scientific Methods 15 (17):458-467.
    Direct download (3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8.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Bibliography for Discussion on Mechanism versus Vitalism.Rupert Clendon Lodge - 1918 - Journal of Philosophy, Psychology and Scientific Methods 15 (20):550.
     
    Export citation  
     
    Bookmark  
  39.  29
    Canadian Philosophical Association: Presidential Address 1990: Philosophers as Professional Relativists.Robert E. Butts - 1990 - Canadian Journal of Philosophy 20 (4):617 - 624.
    I used to think that we should expect of presidents of philosophical associations that they offer us a few pithy comments on the nature of the universe.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5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0.  88
    The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and its history.James Campbell - 2007 - Transactions of the Charles S. Peirce Society 43 (2):404-410.
    : This paper is a response to a series of five papers—by Michael Eldridge, Bruce Kuklick, John Lachs, Erin McKenna, and John Ryder—that examine my recently published volume, A Thoughtful Profession: The Early Year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It discusses those papers in two phases: What they have to say about the volume's account of the history of the philosophy profession in America, and what they have to say about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profession based (...)
    Direct download (5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1.  8
    Addresses of the Mississippi Philosophical Association.Bennie R. Crockett Jr (ed.) - 2000 - BRILL.
    _Addresses of the Mississippi Philosophical Association_ is a collection of presidential and invited addresses from the members of the Mississippi Philosophical Association (MPA). Papers date from the inception of the association in the mid-1940s and continue through 1999. The common thread in these addresses is the authors' service to or leadership in the MPA. The content and methods in the chapters are diverse, including addresses on ethics, political philosophy, history of philosophy, epistemology, aesthetics, philosophy of language,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42.  41
    “First Korean Philosophers” on Philosophy.Young Ahn Kang - 2015 - Diogenes 62 (2):62-70.
    Philosophy as an academic discipline was introduced to Korea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Philosophical education and professional research did not begin, however, until the 1920s. The first ins...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3.  13
    The Study on Anorexia Nervosa from Philosophical Perspective. 성동환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9:167-190.
    현대 사회의 주된 정신장애인 섭식장애에 대한 연구는 주로 심리학과 정신의학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 철학 분야에서도 섭식장애를 깊이 있게 다룬 연구 논문들이 있어 주목된다. 섭식장애 중 거식증은 다양한 요인들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발병하는 것이므로 다양한 관점에서 그 요인들과 원인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며 철학적, 문화적 관점의 탐색이 필요하다.BR 본 연구는 심리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 섭식장애에 대한 정의와 진단 기준, 임상적 특징, 발병의 원인 등에 대해 살펴보고 섭식장애의 하위유형 중 가장 심각한 정신장애인 거식증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던 철학적 논의를 검토해보는 것이 목적이다.BR 홍콩의 거식증은 서구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4.  6
    A Study on Possibility of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the Context of Philosophical Education. 이은주 - 200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1):277-304.
    현재까지도 초등 도덕교육은 다양한 접근 이론을 교차, 혹은 병행하며 시도되고 있다. 그럼에도 다양한 도덕교육 접근 이론의 공통된 목표는 어린이의 도덕성 함양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어린이의 도덕성 함양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도덕교육 접근 이론과 구체적인 도덕교육 프로그램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도덕적인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는 현실은 그 동안의 도덕교육이 그리 성공적이지 못했음을 반영한다. 더욱이 과거 소규모의 공동체 사회와 달리 현대 사회는 고도의 분화와 가치와 문화 등에 있어서도 극심한 상대주의로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소규모의 공동체 사회에서 승인된 도덕적 규범이나 덕목들은 더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5. Canadian philosophical association.R. W. Hepburn - 1962 - Philosophy 37:92.
    No categories
     
    Export citation  
     
    Bookmark  
  46.  52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F. S. C. Northrop - 1942 - New Scholasticism 16 (1):67-68.
  47.  9
    A Study on the Concept of Philosophical Dsinterest - Focused on Schopenhauer’s Philosophy of Art and Husserl’s Phenomenology -. 김동욱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2:1-21.
    본 연구의 목적은 쇼펜하우어의 예술철학과 후설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철학에서 무관심성의 의의를 규명하는 것이다. 일상적 태도와 다른 ‘천재’와 ‘방관자’적 태도는 두 철학자에게 각자의 문제의식을 전개하는 데 중요한 계기이다. 맹목적 의지로 말미암아 인간의 삶이 근본적으로 고통이라고 생각한 쇼펜하우어에게 무관심성은 천재가 지닌 관조 능력의 전제이며, 자연과학적 실증주의로 인한 의미와 인간성의 위기를 경험한 후설에게 무관심성은 의식의 지향성을 온전히 기술하고 해명하는 과제와 관련된 방관자적 태도에서 결정적인 방법론적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18세기 이후 예술의 자율성이라는 문제와 관련해서 무관심성이 예술의 영역에서 많이 논의되는 것과 대비해서, 철학에서는 무관심성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8.  22
    A Comparative Study on the Philosophical Systems of Buddhism and Kant - Focusing on the Absoluteness of Wonhyo"s Emptiness and Kant"s Transcendence -.Seok-Hwan Pyo - 2024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5:223-243.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9.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Abstracts of Papers on The Nature of the Community.Wilbur M. Urban - 1919 - Journal of Philosophy, Psychology and Scientific Methods 16 (26):713.
    No categories
     
    Export citation  
     
    Bookmark  
  50.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Member Interview: Michael Broz.Michael Broz & Sabrina D. MisirHiralall - 2023 -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Member Interviews.
    An interview with the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regarding my work as an academic.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 — 50 / 932